맨위로가기

로제 기유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제 기유맹은 프랑스 출신의 의사이자 신경내분비학 연구자로, 1977년 뇌하수체 호르몬 생산을 조절하는 시상하부 호르몬을 발견한 공로로 앤드루 샬리와 함께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그는 부르고뉴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리옹 의과대학에서 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캐나다 몬트리올 대학교에서 연구하며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54년 시상하부가 뇌하수체를 조절한다는 것을 발견했으며, 베일러 의과대학에서 시상하부 추출물의 효과를 연구했다. 이후 솔크 생물학 연구소에서 소마토스타틴과 엔도르핀을 발견했다. 기유맹은 2024년 10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신경과학자 - 폴 브로카
    폴 브로카는 뇌 기능 국재화 연구의 선구자이자 프랑스의 외과의, 인류학자였지만, 그의 인류학 연구는 과학적 인종주의적 편견을 담고 있다는 비판을 받으며, 특히 브로카 영역 연구는 신경학 발전에 기여했으나, 두개골 측정을 통한 인종 간 지능 비교 연구는 과학적 인종주의 논쟁의 사례로 비판받는다.
  • 프랑스의 신경과학자 - 장마르탱 샤르코
    프랑스의 신경학자이자 해부병리학자인 장마르탱 샤르코는 다발성 경화증 연구, 최면을 이용한 히스테리 연구, 살페트리에르 병원에서의 활동, 유럽 최초의 신경과 진료소 설립 등으로 신경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그의 업적을 기려 샤르코병을 비롯한 다양한 질병과 증상에 그의 이름이 붙여졌다.
  • 프랑스의 백세인 - 클로드 레비스트로스
    구조주의 인류학의 창시자인 클로드 레비스트로스는 법학과 철학을 전공한 후 브라질 원주민 연구를 통해 인류학을 시작, 구조주의 언어학의 영향을 받아 친족 제도, 신화 등을 구조주의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인간 사고의 보편적 구조를 탐구하고 사회과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프랑스의 백세인 - 필리프 드골
    필리프 드골은 프랑스의 군인, 정치인으로, 샤를 드골의 장남이며, 해군 대장으로 복무하고 상원 의원을 역임했으며 2024년에 사망했다.
  • 몬트리올 대학교 동문 - 피에르 트뤼도
    캐나다의 제15대 총리인 피에르 트뤼도는 자유당 소속으로 하원의원을 거쳐 법무장관을 역임하며 진보적인 정책을 추진했고, 총리 재임 시절에는 외교 정책을 펼치고 헌법 개정을 통해 캐나다의 정체성 확립에 기여했으며, 그의 장남 쥐스탱 트뤼도 또한 캐나다의 총리를 역임했다.
  • 몬트리올 대학교 동문 - 미카엘 장
    아이티 태생의 미카엘 장은 2005년부터 2010년까지 캐나다 총독을 역임한 공인으로, 카리브해 출신 최초이자 세 번째 여성 총독이며, 총독 퇴임 후에는 청소년 교육 및 문화 증진을 위한 재단 설립, 유네스코 특별 특사, 대학교 총장, 프랑코포니 사무총장 등을 역임했다.
로제 기유맹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로제 기유맹
로제 기유맹 (1975년)
이름로제 샤를 루이 기유맹
출생일1924년 1월 11일
출생지프랑스 디종
사망일2024년 2월 21일
사망 장소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국적프랑스
시민권미국
로마자 표기Roje Syareu Rui Giyumaeng
연구 분야
분야생물학, 신경학
주요 업적신경호르몬
소속 기관
소속베일러 의과대학,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디에이고
학력
출신 대학몬트리올 대학교, 부르고뉴 대학교
지도 학생와일리 베일
개인 정보
배우자뤼시엔 기유맹 (사망 2021년)
자녀6명
수상 내역
수상미국 국가 과학상, 노벨 생리학·의학상 (1977년), 딕슨상 (1977년), 가드너 국제상(1974년), 앨버트 래스커 기초 의학 연구상(1975년)

2. 생애

로제 기유맹은 프랑스 디종에서 태어났다.[3] 부르고뉴 대학교에서 학부 과정을 마친 후, 1949년 리옹 의과대학에서 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부르고뉴의 작은 마을에서 의사로 일하다가,[2] 캐나다 몬트리올로 건너가 몬트리올 대학교 실험 의학 및 외과 연구소에서 한스 젤리와 함께 연구하며 1953년 박사 학위를 받았다.[2][3] 1943년 디종 의과대학에 입학하여, 내분비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의사 자격을 얻었지만, 연구직을 희망하여 한스 셀리에의 강연에 감명을 받고 몬트리올 대학교에 새로 설립된 셀리에의 연구소에서 연구를 계속하였다.[7]

1954년, 기유맹은 시상하부 세포가 없으면 뇌하수체 세포가 호르몬을 생성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 시상하부가 뇌하수체를 조절한다는 이론을 뒷받침했다. 이 발견을 발전시키기 위해 베일러 의과대학으로 옮겼다. 베일러 의과대학에서 최초로 배양 뇌하수체 전엽에 대한 시상하부 추출물의 효과를 명확히 한 경험이, 장래 시상하부로부터의 방출 호르몬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1957년 앤드루 샬리가 합류했으나, 5년 후 갈등으로 인해 샬리는 뉴올리언스의 재향군인 병원으로 옮겼다.[5]

두 과학자는 미국 정부의 자금 지원을 받아 시상하부 방출 인자 연구를 독립적으로 진행했다. 기유맹은 200만 개 이상의 양 시상하부를, 샬리는 돼지 뇌를 사용했다.[5] 방출 인자는 시상하부에 극미량으로 존재하여 검출하기 어려웠다.[2] 1969년 기유맹 팀의 로저 부르거스가 갑상선 자극 호르몬 방출 인자(TRF)를 확인하는 돌파구를 마련했다. 기유맹과 샬리는 서로 다른 연구실에서 갑상선 자극 호르몬 방출 호르몬(TRH)과 성선 자극 호르몬 방출 호르몬(GnRH)의 구조를 밝혀냈고, 이 발견으로 1977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5] 앤드루 빅터 셜리와는 치열한 연구 경쟁을 벌인 것으로 유명하다.[7][8](해당 서적의 한국어 번역)

1960년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 교수직을 얻기 위해 귀국했지만 실패하고, 1963년 텍사스로 돌아가 1965년 미국에 귀화했다. 1970년 솔크 생물학 연구소에 합류하여 1989년 은퇴할 때까지 신경내분비학 연구소 소장을 역임했다. 여기서 소마토스타틴을 발견하고, 엔도르핀을 분리한 "최초의 연구자들" 중 한 명이었다.[3] 2007년 솔크 연구소의 임시 소장을 역임했다.[3]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로제 기유맹은 프랑스 디종에서 태어났다.[3] 부르고뉴 대학교(University of Burgundy)에서 학부 과정을 마친 후, 1949년 리옹 의과대학(Medical Faculty at University of Lyon)에서 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3] 그는 부르고뉴의 작은 마을에서 의사로 일하다가,[2] 캐나다 몬트리올로 가서 몬트리올 대학교 실험 의학 및 외과 연구소에서 한스 젤리와 함께 일하며 1953년 박사 학위를 받았다.[2][3]

1943년 디종 의과대학에 입학하여, 내분비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의사 자격을 얻었지만, 연구직을 희망하여 한스 셀리에의 강연에 감명을 받고 몬트리올 대학교에 있는 그의 연구소로 갔다. 1949년 MD 학위를 받은 후에도 셀리에의 연구소에서 계속 근무하며, 제프리 해리스가 제창한 "시상하부에 의한 뇌하수체 전엽 조절" 가설을 알게 되었다.

1953년 생리학 박사 학위를 받고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에 있는 베일러 의과대학의 조교수가 되었다.[3] 베일러 의과대학에서 최초로 배양 뇌하수체 전엽에 대한 시상하부 추출물의 효과를 명확히 한 경험은, 장래 시상하부로부터의 방출 호르몬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1965년 미국 시민권을 취득했다.[3]

2. 2. 연구 경력

로제 기유맹은 프랑스 디종에서 태어나,[3] 부르고뉴 대학교에서 학부 과정을 마친 후 1949년 리옹 의과대학에서 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부르고뉴의 작은 마을에서 의사로 일하다가,[2] 캐나다 몬트리올로 건너가 몬트리올 대학교 실험 의학 및 외과 연구소에서 한스 젤리와 함께 연구하며 1953년 박사 학위를 받았다.[2][3] 1943년 디종 의과대학에 입학하여, 내분비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의사 자격을 얻었지만, 연구직을 희망하여 한스 셀리에의 강연에 감명을 받고 몬트리올 대학교에 새로 설립된 셀리에의 연구소에서 연구를 계속하였다.[7]

1954년, 기유맹은 시상하부 세포가 없으면 뇌하수체 세포가 호르몬을 생성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 시상하부가 뇌하수체를 조절한다는 이론을 뒷받침했다. 이 발견을 발전시키기 위해 베일러 의과대학으로 옮겼다. 베일러 의과대학에서 최초로 배양 뇌하수체 전엽에 대한 시상하부 추출물의 효과를 명확히 한 경험이, 장래 시상하부로부터의 방출 호르몬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1957년 앤드루 샬리가 합류했으나, 5년 후 갈등으로 인해 샬리는 뉴올리언스의 재향군인 병원으로 옮겼다.[5]

두 과학자는 미국 정부의 자금 지원을 받아 시상하부 방출 인자 연구를 독립적으로 진행했다. 기유맹은 200만 개 이상의 양 시상하부를, 샬리는 돼지 뇌를 사용했다.[5] 방출 인자는 시상하부에 극미량으로 존재하여 검출하기 어려웠다.[2] 1969년 기유맹 팀의 로저 부르거스가 갑상선 자극 호르몬 방출 인자(TRF)를 확인하는 돌파구를 마련했다. 기유맹과 샬리는 서로 다른 연구실에서 갑상선 자극 호르몬 방출 호르몬(TRH)과 성선 자극 호르몬 방출 호르몬(GnRH)의 구조를 밝혀냈고, 이 발견으로 1977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5] 앤드루 빅터 셜리와는 치열한 연구 경쟁을 벌인 것으로 유명하다.[7][8](해당 서적의 한국어 번역)

1960년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 교수직을 얻기 위해 귀국했지만 실패하고, 1963년 텍사스로 돌아가 1965년 미국에 귀화했다. 1970년 솔크 생물학 연구소에 합류하여 1989년 은퇴할 때까지 신경내분비학 연구소 소장을 역임했다. 여기서 소마토스타틴을 발견하고, 엔도르핀을 분리한 "최초의 연구자들" 중 한 명이었다.[3] 2007년 솔크 연구소의 임시 소장을 역임했다.[3]

2. 3. 노벨상 수상과 이후

로제 기유맹은 1977년 뇌하수체 호르몬 생산을 조절하는 시상하부 호르몬을 발견한 공로로 앤드루 샬리와 함께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5] 1954년, 기유맹은 시상하부 세포가 없으면 뇌하수체 세포가 호르몬을 생성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하고, 시상하부가 뇌하수체를 조절한다는 이론을 뒷받침했다.[5] 그는 이 발견을 발전시키기 위해 베일러 의과대학으로 옮겼고, 1957년 앤드류 샬리가 합류했다. 5년 후, 그들의 파트너십은 진전 부족과 개인적인 갈등으로 해소되었고, 샬리는 뉴올리언스의 재향군인 병원으로 옮겼다.[5]

이후, 두 과학자는 미국 정부의 자금 지원을 받아 시상하부 방출 인자를 찾기 위한 연구를 독립적으로 진행했다. 기유맹은 200만 개 이상의 양 시상하부를, 샬리는 돼지 뇌를 사용했다.[5] 이 방출 인자는 시상하부에 극미량으로 존재하여 당시 기기로는 검출하기 어려웠다.[2] 1969년, 기유맹 팀의 로저 부르거스가 갑상선 자극 호르몬 방출 인자(TRF)를 확인하면서 연구에 돌파구가 마련되었다.[5] 기유맹과 샬리는 서로 다른 연구실에서 갑상선 자극 호르몬 방출 호르몬(TRH)과 성선 자극 호르몬 방출 호르몬(GnRH)의 구조를 밝혀냈다.[5]

1970년, 기유맹은 솔크 연구소에 합류하여 1989년 은퇴할 때까지 신경내분비학 연구소 소장을 역임했다. 그는 소마토스타틴을 발견하고, 엔도르핀을 분리한 "최초의 연구자들" 중 한 명이었다.[3] 2007년에는 솔크 연구소의 임시 소장을 역임하기도 했다.[3]

2. 4. 말년

로제 기유맹은 2024년 2월 21일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에서 100세를 일기로 사망했다.[5][6][9] 그는 2021년 아내 루시엔느 장느 비야르가 100세의 나이로 사망할 때까지 69년간 결혼 생활을 했으며, 슬하에 다섯 딸과 한 아들을 두었다.[3][5]

기유맹은 1970년 라호야의 솔크 생물학 연구소에 합류하여 1989년 은퇴할 때까지 신경내분비학 연구소 소장으로 재직했다.[3] 이곳에서 그는 소마토스타틴을 발견하고 엔도르핀을 분리한 "최초의 연구자들" 중 한 명이었다.[3] 2007년에는 솔크 연구소의 임시 소장을 역임하기도 했다.[3]

그는 다른 노벨상 수상자들과 함께, 1995년부터 중국에서 가택 연금 상태에 있는 티베트 어린이 게둔 초키 냐마(14세 달라이 라마, 텐진 갸초에 의해 11대 판첸 라마로 인정됨)를 방문할 것을 유엔 아동 권리 위원회에 요청하는 서명 운동에 참여했다.

1960년,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 교수직을 얻기 위해 일시 귀국했지만 실패하였고, 1963년 텍사스로 돌아가 1965년에는 미국에 귀화했다.[7]

3. 주요 연구 업적

4. 수상 경력

로제 기유맹은 1974년 미국국립과학원 회원과 가드너 국제상을 수상했다. 1975년에는 알버트 래스커 기초의학연구상을 수상했다. 1976년에는 딕슨상 의학 부문, 파사노상, 미국 국가과학상을 수상했다. 1977년에는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5. 회원

6. 명예 박사 학위

7. 서훈


  • 1973년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다.
  • 1974년 미국국립과학원(National Academy of Sciences)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 1974년 가드너 국제상(Canada Gairdner International Award)을 수상하였다.
  • 1975년 앨버트 래스커 기초의학연구상(Albert Lasker Award for Basic Medical Research)을 수상하였다.
  • 1976년 딕슨상(Dickson Prize) 의학부문을 수상하였다.
  • 1976년 파사노 의학상(Passano Award in Medical Sciences)을 수상하였다.
  • 1976년 미국 국가과학훈장(National Medal of Science)을 받았다.
  • 1977년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 1977년 노벨 생리학·의학상(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을 수상하였다.

참조

[1] 서적 The who's who of Nobel Prize winners, 1901–1995 Oryx Press
[2] 학술지 Roger Guillemin (1924–2024), neuroscientist who showed how the brain controls hormones 2024-03-08
[3] 웹사이트 Salk Distinguished Professor Emeritus Roger Guillemin, Nobel Prize laureate, celebrates 100th birthday https://www.salk.edu[...] 2024-07-14
[4] 웹사이트 Salk Distinguished Professor Emeritus Roger Guillemin, Nobel Prize laureate, celebrates 100th birthday https://www.salk.edu[...] 2024-01-11
[5] 뉴스 Roger Guillemin, 100, Nobel-Winning Scientist Stirred by Rivalries, Dies https://www.nytimes.[...] 2024-02-23
[6] 웹사이트 L'Institut Salk pleure la perte du lauréat du prix Nobel Roger Guillemin, éminent professeur émérite https://www.salk.edu[...] 2024-02-27
[7] 서적 The Nobel Duel Doubleday
[8] 서적 ノーベル賞の決闘 岩波書店
[9] 뉴스 Roger Guillemin, Nobel-winning physician with fierce rivalry, dies at 100 https://www.washingt[...] 2024-02-23
[10] 서적 The who's who of Nobel Prize winners, 1901-1995 Oryx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